고양이의 카밍 시그널은 고양이가 자신을 진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행동이며, 주로 경계나 대치 상황에서 나타납니다. 이러한 시그널은 고양이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호자는 고양이의 카밍 시그널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고양이의 안녕과 행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카밍 시그널 종류
주변을 핥기
고양이는 주변을 핥는 행동으로 스스로를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피부의 자극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해 줍니다.
몸을 세우고 꼬리를 털기
고양이가 몸을 세우고 꼬리를 털면 경계심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주변 상황에 대한 경계심을 표현하면서 스스로를 안정시키는 행동입니다.
어피토미멀리어드
고양이는 위협적인 상황에서 어피토미멀리어드(Apito-mimetic)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적대적인 상황을 피하기 위해 상대방의 동작을 모방하는 행동으로, 자신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눈을 깜빡이기
고양이는 안정감을 나타내기 위해 눈을 깜빡이는 행동을 합니다. 느린 속도로 눈을 깜빡이는 것은 고양이 사이에서 친밀감과 평화의 표시로 인식됩니다.
몸을 빙글빙글 돌리기
고양이는 자신을 안심시키기 위해 몸을 빙글빙글 돌리는 행동을 합니다. 이는 스스로를 진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여겨집니다.
골골송
그릉그릉 소리를 내는 골골송은 기분이 좋거나 만족 상태일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만,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진동소리를 낼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과도하거나 가만히 웅크려 앉아서 그릉그릉 소리를 낸다면 건강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그루밍
하면서 스스로를 안정시키려는 것은 카밍 시그널입니다. 그루밍을 하면서 긴장 상태나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던 고양이가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그루밍보다 잦은 그루밍은 스트레스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품
할 때는 보호자가 혼을 내거나 주변이 시끄러운 상황, 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병원에 가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품은 불안한 상황에서 스스로를 진정시키기 위한 카밍 시그널입니다. 특히 차를 타고 이동할 때 너무 잦은 하품은 차멀미를 나타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배를 보이고 뒹굴 거리기
자신의 약점을 보여주거나 애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대치 상황에서 다른 고양이에게 배를 보이며 뒹굴거리는 것은 카밍 시그널로, 자신의 적의가 없음을 나타내려는 행동입니다.
자는 척
스트레스나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에서 보이는 행동입니다. 고양이는 자는 척을 하면서 상황이 지나갈 때까지 대기하거나, 편안한 환경을 찾기 위해 휴식을 취합니다. 이때 고양이는 꼬리를 움직이거나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귀를 쫑긋 거릴 수 있습니다.
발톱 정리
하는 것은 단순한 발톱 정리 이외에도 여러 의미가 있습니다. 발톱을 긁으면서 고양이는 자신의 영역 표시와 소유권을 주장하려는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톱 정리는 기분 전환을 위한 카밍 시그널이기도 합니다.
만약 고양이가 발톱 정리를 자주 하거나 스크래처가 아닌 가구 등에 할 경우, 최근에 스트레스를 받은 상황이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놀이로 인한 흥분 상태나 보호자의 귀가로 기쁨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쾌한 상황에서 발톱을 긁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와 대화하기
건강 문제를 확인
고양이는 아픔을 숨기는 경향이 있으므로, 스트레스의 원인이 건강 문제에 있다면 확인해야 합니다. 숨기고 있는 아픔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혼내지 말기
고양이를 물리적으로 혼내거나 소리를 지르는 것은 고양이의 두려움을 키울 뿐만 아니라 보호자에 대한 불신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가 공격적이 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대신, 고양이와 부드럽게 상호작용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안전한 장소를 제공
고양이가 숨을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해 주세요. 이는 고양이가 피할 수 있는 장소를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고양이가 들어가기 쉽고 도망할 수 있는 장소여야 합니다.
억지로 만지지 말기
고양이의 신체 언어를 잘 읽어보고, 만약 고양이가 보호자를 위협한다면 가만히 시간을 주세요. 눈을 마주치거나 만지지 말고 기다리면 고양이가 스스로 안전하다는 생각을 가질 때 나올 수 있습니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
부드러운 음악을 틀어주거나 조용하고 다정한 소리로 이야기해 주는 것은 고양이가 진정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완화 제품 활용
고양이가 신체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아 문제가 나타나는 경우,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제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모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안 숏헤어 혹은 도메스틱 숏헤어 (0) | 2023.06.22 |
---|---|
발리니즈 : 샴고양이 친척 (1) | 2023.06.21 |
고양이 키우기 전 꼭 생각해야 할 알레르기 (0) | 2023.06.04 |
고양이가 조심해야 하는 음식들 (0) | 2023.06.02 |
고양이를 키울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