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계의 귀부인 페르시안

털이 긴 품종의 대표격이며, 풍성하고 가늘며 긴 털은 흰색, 검은색, 회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습니다. 성격이 조용하고, 울음소리가 작으며, 온순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16세기 아시아에서 페르시아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르시아 제국의 상형문자에서는 긴 털을 가진 고양이가 무역상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의 페르시아 고양이의 선조라면 기원은 B.C. 1524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유럽에 전해진 후, 1899년 영국 고양이쇼에 등장하였고, 19세기 말에는 미국으로 전해졌다.

 

특징

둥근 얼굴, 짧은 다리, 그리고 긴 털이 특징이며, 보통 4~5kg의 무게를 가진다. 귀여운 외모로 인해 오랫동안 인기를 유지해 왔지만, 이종 교배가 많아 개체별 얼굴 모양의 편차가 크다. 유전 질환에 취약하므로, 특히 다낭포성신장질환(PKD)와 결막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성격은 대체로 순하며, 다리는 짧지만 먼치킨보다는 길어서 캣파이트에서도 대체로 밀리지 않는다.

 

페르시안

생김새

장모종 중에서도 부드럽고 가는 이중모를 가지고 있어서 털의 부드러움이 뛰어나지만, 이는 털빠짐이 많다는 단점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고양이의 털은 꾸준히 빗겨주어야 하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부드러운 속털이 엉켜서 고양이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얼굴 형태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일반 고양이처럼 생긴 클래식 또는 돌페이스 또는 트래디셔널이며, 다른 하나는 개의 퍼그나 불독처럼 코가 들어간 페키 페이스 또는 익스트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일반 고양이처럼 생긴 트래디셔널 형태의 페르시안 고양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일반 고양이에 비해 얼굴이 둥글고, 귀는 작고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체형은 터키쉬 앙고라가 늘씬한 포린 체형인 반면, 페르시안은 대두에 오동통하고 다리가 짧은 코비 체형입니다. 또한 털은 일반 고양이에 비해 긴 편입니다. 고양이협회에서는 각 품종마다 허용되는 털색과 무늬를 정해놓고 있습니다.

 

페르시안 브라운 매커럴태비, 페르시안 실버 친칠라 등과 같이 품종명 - 색상 - 털 패턴 순서로 부르며, CFA라는 고양이협회에서는 100가지가 넘는 털 패턴을 분류하고 있습니다.털 색상은 솔리드(단색), 친칠라(털의 1/10만 색이 있는 패턴), 태비, 스모크, 쉐이드, 바이 컬러(하 얀색과 다른 색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등 다양한 패턴이 있습니다. 특히 친칠라 패턴은 설치류인 친칠라의 털 패턴과 닮았으며, 레드, 골든, 실버, 칼리코 등 다양한 색상이 있습니다.

 

친칠라

순종 중에서 털 색상의 패턴이 친칠라 형태인 고양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별개의 종이 아닙니다. 페르시안 친칠라라는 이름은 설치류인 친칠라의 털 패턴과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세부 명칭입니다. 이 외에는 다른 페르시안 고양이와 크게 다를 것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토끼 중에도 친칠라 품종이 있고, 이 역시 친칠라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성격

고양이 품종 중에서 성격이 매우 순하며, 혼자 있는 것이나 주인과 가까이 있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들은 활발한 놀이보다는 조용한 활동을 좋아하며, 새끼 고양이들도 다른 품종에 비해 빨리 지치는 편입니다. 사람에게 친근한 샴 고양이와 함께 '개냥이' 품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샴이 모르는 사람에게도 적극적으로 교감을 시도하고, 주인의 관심이 부족할 때 흥분하는 반면, 자신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조용히 관찰하며, 친밀한 사람들로부터 무난한 스킨십을 받는 것을 선호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